맨위로가기

룰레 사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룰레 사미어는 스웨덴 룰레 강 주변에서 사용되던 언어로, 현재 약 650명의 화자가 사용하며 사미어 중 두 번째로 많은 사용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1839년 라스 레비 뢰스타디우스가 룰레 사미어로 쓴 최초의 책을 출판했으며, 1983년 철자법이 표준화된 이후 문어로서 발전해왔다. 룰레 사미어는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자음은 세 가지 길이 유형을 보인다. 또한, 7개의 격을 가지며, 인칭 대명사, 동사의 활용 등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룰레 사미어는 고유한 어휘를 가지며, 2007년 신약 성서가 번역되어 출판되는 등 문학 작품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언어 - 크벤어
    크벤어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핀란드어 계열의 언어로, 동화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2007년 표준 문자 제정 계획이 있었지만 젊은 세대의 화자 부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스웨덴의 언어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스웨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우메 사미어
    우메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에서 사용되는 사미어의 일종으로, 서부와 동부 방언으로 나뉘며, 자음과 모음 체계, 8개의 격을 가지며, 1632년 기록을 시작으로 2016년 공식 정자법이 발표되었다.
룰레 사미어
지도
룰레 사미어 사용 지역 (빨간색) 사피 (회색) 내
룰레 사미어 사용 지역 (빨간색) 사피 (회색) 내
2010년 기준, 룰레 사미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서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되었다.
2010년 기준, 룰레 사미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서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되었다.
기본 정보
언어 이름룰레 사미어
고유어 이름julevsámegiella (율레브사메키엘라)
다른 이름Lulesamisk (룰레사미스크)
Lulesamiska (룰레사미스카)
사용 국가노르웨이
스웨덴
사용자 수650명 (2015년)
언어 계통우랄어족
사미어
서부 사미어
문자라틴 문자
ISO 639-2smj
ISO 639-3smj
글롯로그lule1254
글롯로그 참조 이름Lule Saami
지위
공용어노르웨이
소수 언어스웨덴
위험도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2. 역사

룰레 사미어는 원래 스웨덴의 룰레 강 주변에서만 사용되던 언어였다.[3] 18세기, 일부 룰레 사미족이 노르웨이 노르란으로 이주하면서 노르웨이에도 룰레 사미어 사용 지역이 생겨났다.[3] 1839년, 라스 레비 뢰스타디우스가 룰레 사미어로 쓴 최초의 책 Hålaitattem Ristagasa ja Satte almatja kaskansmj을 출판하였다.[3]

3. 현황

룰레 사미어 화자 수는 약 650명으로 추산되며, 이는 사미어 중 두 번째로 많은 수치이다. 그러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룰레 사미어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언어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시급하다. 1983년 룰레 사미어 철자법이 표준화된 이후, 문어(文語)로서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4. 음운

룰레 사미어는 순음, 치음, 치경음, 치후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등 다양한 위치에서 조음되는 자음을 가지고 있다.

}

| ㅇ/ŋsje

|-

! rowspan="2" | 파열음 /
파찰음

!

| ㅍ/psje

| ㅌ/tsje

|

|

|

| ㅋ/ksje

|-

!

| ㅂ/bsje

| ㄷ/dsje

|

|

|

| ㄱ/ɡsje

|-

! rowspan="2" | 마찰음

!

|

|

| ㅅ/ssje

|

|

| ㅎ/hsje

|-

!

| rowspan="2" |

|

|

|

|

|

|-

! colspan="2" | 반모음

|

|

|

|

|

|-

! colspan="2" | 측음

|

|

| ㄹ/lsje

|

|

|

|-

! colspan="2" | 전동음

|

|

|

|

|

|}

파열음파찰음은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된다. 마찰음은 무성음 , ㅅ/ssje, , ㅎ/hsje와 유성음 가 있다. 비음으로는 ㅁ/msje, ㄴ/nsje, , ㅇ/ŋsje이 있다. 반모음 , 측음 ㄹ/lsje, , 전동음 도 존재한다.

일부 분석에서는 전기음화된 파열음/파찰음과 전폐쇄음/전성문음을 포함하기도 한다. 같은 위치에서 조음되는 파열음(전폐쇄음)은 미파음으로 실현된다. 는 음절 초에서는 순치 마찰음 , 음절말 자음군에서는 양순음 로 실현된다.

룰레 사미어는 단모음, 장모음, 이중모음을 모두 가지고 있다.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치후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ㅁ/msjeㄴ/nsje{{llang|sje|ɲ|}
단모음장모음이중모음
전설모음후설모음전설모음후설모음전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colspan="2" |


  • 는 진정한 이중모음 또는 장단모음 로 발음될 수 있다.
  • 장모음 와 이중모음 및 는 강세 모음절에서만 나타난다.
  • 장모음 및 는 매우 드물며, 단모음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들 또한 강세 모음절에서만 나타난다.
  • 단모음 와 장모음 는 무강세 모음절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앞선 강세 모음절에 가 포함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룰레 사미어의 자음은, 자음군을 포함하여, 강세 있는 음절 뒤에 나타나는 경우 여러 가지 구별되는 길이 유형, 즉 양을 가질 수 있다. 이것들은 관례적으로 짧은 것을 기준으로 양 1, 2, 3으로 표기한다. 어휘의 자음들은 자음 변화라는 과정에서 서로 바뀌는데, 이는 특정 문법 형태에 따라 자음이 다른 양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능성 중 하나는 ‘강세 형태’로, 다른 하나는 ‘약세 형태’로 명명된다. 약세 형태의 자음은 일반적으로 양 1 또는 2이고, 강세 형태의 자음은 일반적으로 양 2 또는 3이다.

  • '''양 1'''은 단일 자음을 포함한다. 이는 약세 형태의 원시 사미어 단일 자음에서 유래한다.
  • '''양 2'''는 이전 음절의 종지에 짧은 자음이 있는 자음의 조합(같은 자음 두 개 포함)을 포함한다. 이는 강세 형태의 원시 사미어 단일 자음과 약세 형태의 자음 두 개의 조합에서 유래한다.
  • '''양 3'''은 이전 음절의 종지에 긴 자음이 있는 자음의 조합(같은 자음 두 개 포함)을 포함한다. 이는 강세 형태의 원시 사미어 자음 두 개의 조합에서 유래한다.


본 문서와 관련 문서 전반에 걸쳐, 서로 다른 음절에 속한 자음은 IPA 표기에서 두 개의 자음 문자로 표기하며, 양 3에서 자음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은 IPA 길이 표시()로 표시한다.

모든 자음이 모든 양 유형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제약이 존재한다.

  • 단일 는 양 1로 제한되며, 변화하지 않는다.
  • 단일 또한 양 1로 제한되지만, 와 변화한다.
  • 유성 파열음과 파찰음은 (양 2에도 나타날 수 있음)을 제외하고 양 3에서만 나타난다.
  • 는 양 2와 3에서 나타나지만, 양 1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자음이 세 가지 양 모두에 나타날 수 있는 경우, 양 3을 "초장음"이라고 한다.

4. 1. 자음

룰레 사미어는 순음, 치음, 치경음, 치후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등 다양한 위치에서 조음되는 자음을 가지고 있다.

}

| ㅇ/ŋsje

|-

! rowspan="2" | 파열음 /
파찰음

!

| ㅍ/psje

| ㅌ/tsje

|

|

|

| ㅋ/ksje

|-

!

| ㅂ/bsje

| ㄷ/dsje

|

|

|

| ㄱ/ɡsje

|-

! rowspan="2" | 마찰음

!

|

|

| ㅅ/ssje

|

|

| ㅎ/hsje

|-

!

| rowspan="2" |

|

|

|

|

|

|-

! colspan="2" | 반모음

|

|

|

|

|

|-

! colspan="2" | 측음

|

|

| ㄹ/lsje

|

|

|

|-

! colspan="2" | 전동음

|

|

|

|

|

|

|}

파열음파찰음은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된다. 마찰음은 무성음 , ㅅ/ssje, , ㅎ/hsje와 유성음 가 있다. 비음으로는 ㅁ/msje, ㄴ/nsje, , ㅇ/ŋsje이 있다. 반모음 , 측음 ㄹ/lsje, , 전동음 도 존재한다.

일부 분석에서는 전기음화된 파열음/파찰음과 전폐쇄음/전성문음을 포함하기도 한다. 같은 위치에서 조음되는 파열음(전폐쇄음)은 미파음으로 실현된다. 는 음절 초에서는 순치 마찰음 , 음절말 자음군에서는 양순음 로 실현된다.

4. 2. 모음

룰레 사미어는 단모음, 장모음, 이중모음을 모두 가지고 있다.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치후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ㅁ/msjeㄴ/nsje{{llang|sje|ɲ|}
단모음장모음이중모음
전설모음후설모음전설모음후설모음전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colspan="2" |


  • 는 진정한 이중모음 또는 장단모음 로 발음될 수 있다.
  • 장모음 와 이중모음 및 는 강세 모음절에서만 나타난다.
  • 장모음 및 는 매우 드물며, 단모음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들 또한 강세 모음절에서만 나타난다.
  • 단모음 와 장모음 는 무강세 모음절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앞선 강세 모음절에 가 포함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4. 2. 1. 자음 길이와 자음 교체

룰레 사미어의 자음은, 자음군을 포함하여, 강세 있는 음절 뒤에 나타나는 경우 여러 가지 구별되는 길이 유형, 즉 양을 가질 수 있다. 이것들은 관례적으로 짧은 것을 기준으로 양 1, 2, 3으로 표기한다. 어휘의 자음들은 자음 변화라는 과정에서 서로 바뀌는데, 이는 특정 문법 형태에 따라 자음이 다른 양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능성 중 하나는 ‘강세 형태’로, 다른 하나는 ‘약세 형태’로 명명된다. 약세 형태의 자음은 일반적으로 양 1 또는 2이고, 강세 형태의 자음은 일반적으로 양 2 또는 3이다.

  • '''양 1'''은 단일 자음을 포함한다. 이는 약세 형태의 원시 사미어 단일 자음에서 유래한다.
  • '''양 2'''는 이전 음절의 종지에 짧은 자음이 있는 자음의 조합(같은 자음 두 개 포함)을 포함한다. 이는 강세 형태의 원시 사미어 단일 자음과 약세 형태의 자음 두 개의 조합에서 유래한다.
  • '''양 3'''은 이전 음절의 종지에 긴 자음이 있는 자음의 조합(같은 자음 두 개 포함)을 포함한다. 이는 강세 형태의 원시 사미어 자음 두 개의 조합에서 유래한다.


본 문서와 관련 문서 전반에 걸쳐, 서로 다른 음절에 속한 자음은 IPA 표기에서 두 개의 자음 문자로 표기하며, 양 3에서 자음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은 IPA 길이 표시()로 표시한다.

모든 자음이 모든 양 유형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제약이 존재한다.

  • 단일 는 양 1로 제한되며, 변화하지 않는다.
  • 단일 또한 양 1로 제한되지만, 와 변화한다.
  • 유성 파열음과 파찰음은 (양 2에도 나타날 수 있음)을 제외하고 양 3에서만 나타난다.
  • 는 양 2와 3에서 나타나지만, 양 1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자음이 세 가지 양 모두에 나타날 수 있는 경우, 양 3을 "초장음"이라고 한다.

4. 3. 음운 과정

4. 3. 1. 모음 변이 (Umlaut)

음절변화(Umlaut)는 강세를 받는 음절의 이중모음이 다음 음절의 모음에 따라 변하는 과정이다.

첫 번째 유형의 음절변화는 어미가 무강세의 /ie̯///ie̯/sje로 끝나는 단어에서 /ea̯///ea̯/sje와 /ie̯///ie̯/sje 사이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단어의 경우, 이 두 이중모음은 서로의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어미가 다른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에서는 이들 모음이 구별된다. 다음 표는 다른 뒤따르는 모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패턴을 보여준다.

다음 모음uo̯ie̯aui
어미가 /ie̯/로 끝남ea̯ie̯ea̯ie̯
어미가 다른 모음으로 끝남ea̯ea̯
어미가 다른 모음으로 끝남ie̯ie̯



두 번째 유형의 음절변화는 "이중모음 단순화" 또는 "단모음화"라고 하며, 북부 사미어의 그것과 유사하지만 다르게 작동한다. 이중모음 /ea̯///ea̯/sje와 /oɑ̯///oɑ̯/sje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각각 /eː///eː/sje와 /oː///oː/sje가 된다.


  • 다음 음절의 모음이 단모음일 경우 (따라서 /a///a/sje도 포함됨), 그리고
  • 뒤따르는 자음의 양이 1 또는 2일 경우.

이중모음 /ie̯///ie̯/sje와 /uo̯///uo̯/sje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자음의 양이 3이 되거나 다음 음절의 모음이 장모음이 되면 역과정이 발생하여 장모음이 다시 이중모음으로 변한다.

세 번째 유형의 음절변화인 진행적 음절변화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앞선 강세 모음이 단모음 /o///o/sje인 경우 무강세 모음 /a///a/sje와 /aː///aː/sje를 각각 /o///o/sje와 /oː///oː/sje로 둥글게 만든다.

4. 3. 2. 무강세 모음 장음화

강세를 받는 음절에 짧은 모음 뒤에 단일 자음(양 1)이 오는 경우, 다음 음절의 짧은 모음이 장음화된다.

  • dahkatsmj "하다" ~ ''dagá'' (1인칭 단수 현재)
  • bådnjåtsmj "비틀다" ~ ''bånjå̄'' (1인칭 단수 현재)

5. 방언

삼말라흐티[4]는 룰레 사미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북부 방언: 스웨덴의 쇠르카이툼(Sörkaitum), 시르카스(Sirkas), 야카카스카(Jåkkåkaska)와 노르웨이의 하마뢰이
  • 남부 방언: 스웨덴의 투오르폰(Tuorpon)
  • 산림 방언: 스웨덴의 옐리바레와 세리


룰레 사미어 북부 방언은 첫 음절에서 뒤에 긴 가 로 원순화되는 특징이 있다. 남부 방언은 앞의 짧은 가 로 변이하는 특징을 보인다.

6. 문자

룰레 사미어는 확장된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된다.

문자음소주석
A a
Á á
B b,
D d,
E e, 무성음일 때 .
F f
G g,
H h
I i
J j
K k, 강세를 받는 음절의 첫머리에서 후기성절.
L l
M m
N n
Ŋ ŋ
O o무성음일 때만.
P p, 강세를 받는 음절의 첫머리에서 후기성절.
R r
S s
T t, 강세를 받는 음절의 첫머리에서 후기성절.
U u
V v
Å å,
Ä ä
/oɑ̯/강세를 받을 때만.
/e/강세를 받을 때만.
/iː/
/uː/



과거에는 을 나타내기 위해 를 사용했으나, 현대 표기법에서는 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7. 문법

7. 1. 격

룰레 사미어는 7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다른 우랄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주격 단수는 표시되지 않으며 술어의 주어를 나타낸다. 주격 복수 또한 표시되지 않으며, 항상 형식적으로 소유격 단수와 같다.

단수 소유격은 표시되지 않으며 주격 복수와 같다. 복수 소유격은 '-j'로 표시된다. 소유격은 소유 표시, 전치사, 후치사와 함께 사용된다.

목적격은 직접 목적어의 경우이며, 단수형에서는 '-v'로 표시된다. 복수형에서는 복수 접미사 '-j' 앞에 오는 '-t'가 표시된다.

내격 접미사는 단수일 때 '-n'이고, 복수일 때는 복수 접미사 '-j'가 앞에 붙어 '-jn'이 된다. 이 격은 어떤 것이 있는 곳, 누가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접미사 '-j'는 단수 명사에, '-da'는 복수 명사에 사용되는 향격 접미사이다. 복수 접미사 '-i'가 앞에 붙어 복수 목적격과 형태가 같다. 이 격은 어떤 것이 어디로 가는지, 누가 무엇을 받는지, 간접 목적어를 나타낸다.

절대격(Elative case) 조사는 단수일 때는 '-s', 복수일 때는 복수 조사 '-j'가 앞에 붙어 '-js'로 표시된다. 이 격은 어떤 것이 어디에서 오는지를 나타낸다.

단수의 동반격 접미사는 '-jn'이고, 복수는 '-j'인데, 이는 소유격 복수와 유사하게 보인다. 동반격은 어떤 일이 '누구 또는 무엇과 함께' 행해졌는지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7. 2. 대명사

룰레 사미어의 인칭 대명사는 단수, 복수, 쌍수의 세 가지 수를 갖는다. 주격과 소유격/목적격 형태가 구분된다.

 영어주격영어소유격
1인칭 단수mån나의muv
2인칭 단수dån너의duv
3인칭 단수그/그녀sån그의/그녀의suv
1인칭 이중우리(둘)måj우리의munnu
2인칭 이중너희(둘)dåj너희의dunnu
3인칭 이중그들(둘)såj그들의sunnu
1인칭 복수우리mij우리의mijá
2인칭 복수너희dij너희의dijá
3인칭 복수그들sij그들의sijá



'그/그녀'(성별 구분 없음) 인칭 대명사는 격에 따라 변화한다.

 단수이중복수
주격sånsåjsij
소유격suvsunnusijá
목적격suvsunnuvsijáv
있음격sujnasunnunsiján
향방격sunjisunnujsidjij
탈격sujstasunnussijás
동반격sujnasunnujnsijájn


7. 3. 동사

룰레 사미어 동사는 세 가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과 세 가지 수(단수, 쌍수, 복수)로 활용된다. 다섯 가지 법(직설법, 명령법, 소원법(또는 "명령법 II"), 가정법, 가능법)이 있다. 룰레 사미어 동사는 과거, 비과거의 두 가지 시제와, 현재 완료, 과거 완료의 두 가지 복합 시제를 갖는다. 핀란드어, 다른 사미어, 그리고 일부 에스토니아 방언과 마찬가지로 부정 동사가 존재하며, 시제, 법, 인칭, 수에 따라 활용된다.

현재
직설법
과거
직설법
명령법서법
1인칭 단수ivittjiv
2인칭 단수iittjialeallu
3인칭 단수ijittjijallisallus
1인칭 이중enejmaallonallun
2인칭 이중ähppeejdaal'lealluda
3인칭 이중äbáejgaalliskaalluska
1인칭 복수epejmaallopallup
2인칭 복수ehpitejdaallitallut
3인칭 복수eettjinallisaallusa


8. 어휘

룰레 사미어는 고유한 어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미어 및 우랄어족 언어들과 어원을 공유하는 단어들이 존재한다.

9. 문학

1839년 라스 레비 뢰스타디우스의 ''Hålaitattem Ristagasa ja Satte almatja kaskan''이 룰레 사미어로 출판된 최초의 책이다.,하랄드 그룬드스트룀의 ''룰레 사미어 사전'' 등 룰레 사미어 사전과 문법책이 출판되었다.,2007년에는 신약 성서가 룰레 사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ant hemmelighetene i lulesamenes språk https://forskning.no[...]
[2] 웹사이트 To which languages does the Charter apply? http://hub.coe.int/c[...] Council of Europe 2014-04-03
[3] 웹사이트 lulesamer https://snl.no/.vers[...] 2023-02-06
[4] 서적 The Saami Languages: An Introduction Davvi Girji 1998
[5] 웹사이트 To which languages does the Charter apply? http://hub.coe.int/c[...] Council of Europe 2014-04-03
[6] 웹사이트 룰레 사미어 https://www.ethnolog[...]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